본문 바로가기
건강

고약사 오메가3 추천 /스포츠리서치 (IFOS 실제 함량과 순도 체크해봤어요)

by 건강한 에너지 2023. 7. 28.

유튜브에서 유명한 고약사님의 추천으로 스포츠리서치 오메가3를 처음 접하게 된 분들이 많을 텐데요. 

 

오메가 3의 한 캡슐당 순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아실 텐데, 제품 겉면에 표기된 수치 말고 실제로 제3의 기관인 IFOS에서 테스트된 실제 함량과 순도까지 체크해 봤습니다. 

 

그 전에 오메가 3 영양제에서 볼 수 있는 중요한 IFOS 인증과 MSC 인증의 의미부터 쉽게 설명할 건데, 3분 투자로 단 한 번 알아두면 다른 제품 고르실 때에도 도움이 되실 거예요.

 


- 순 서 -

1. 스포츠리서치 오메가 3의 특징 3가지

 (1) IFOS 인증 (국제 어유 표준)

 (2) MSC 인증

 (3) 캡슐당 순도 80~85%

 

2. 스포츠리서치 제품의 공통된 특징 4가지


 

1. 스포츠리서치 오메가 3 특징

스포츠리서치 오메가3 IFOS 실제함량과 순도 이미지

 

해외직구 영양제 좀 먹어보신 분 중에 비타민, 밀크씨슬 등 다른 영양제는 여러 다른 브랜드를 복용해도, 오메가 3은 스포츠리서치를 고려해 보신 분들이 많을 텐데요. 실제로 스포츠리서치에도 다양한 영양제 제품군들이 있는데, 베스트셀러는 오메가 3입니다.

 

그러면 스포츠리서치사의 거의 모든 제품 라인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고, 오메가 3만 가지고 있는 특징은 별도로 있는데요.

 

제일 먼저, 스포츠리서치의 오메가 3만 가지는 특징 3가지부터 살펴볼게요.

 

(1) IFOS 인증 (국제 어유 표준)

(2) MSC 인증

(3) 오메가 3 함량이 80~85% 순도

 

혹시 그동안 이 인증들의 의미가 막연하게만 인지하고 계셨다면 이 글 단 한 번으로 쉽게 아실 거예요. 그럼 하나씩 어떤 의미인지 쉽게 한 번 살펴볼게요.

 

(1) IFOS 인증

IFOS 국제 어유 표준 인증 마크 이미지

IFOS의 약자는 International Fish Oil Standards(국제 어유 표준)으로 제3의 기관에서 어유에 해로운 불순물은 없는지 그리고 판매사에서 표기한 성분표의 함량이 일치하는지 등 테스트를 해서 검증을 했다는 인증 마크입니다.

영양보충제에 여러 인증들이 있지만 이 IFOS 인증은 오메가 3나 크릴오일과 같이 바닷속 물고기나 해조류에서 주요 성분을 추출하는 원료사나 완제품에서 볼 수 있는 국제 인증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 인증을 받았다는 것은 원료를 바다에서 추출할 때 중요하게 체크해야 할 부분 중 하나인 중금속이나, 수은, 카드뮴, 다이옥신과 같은 물질의 포함 여부를 테스트했을 때, 검출되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원료가 산화되지 않고 신선한지도 체크하며, 원료사나 완제품 판매사에서 표기한 DHA나 EPA의 함량이 실제로도 맞는지도 테스트하여 보고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실 일반 고객 입장에서는 판매사가 겉으로 노출한 정보가 진짜인지 더블 체크 할 수 있는 부분이 거의 없는데, 제3의 기관에서 테스트한 결과이고 실제로 고객이 언제든 온라인에서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니, 이런 제3자 테스트 인증 마크의 유무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또한, IFOS가 제공하는 어유표준이 국제적으로 가장 까다로우면서도 신뢰할 수 있는 부분이니, 소위 국민 영양제로 불리며 지속적으로 먹게 되는 오메가 3를 선택할 때 다른 건 몰라도 이 IFOS 인증만큼은 꼭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꼭 스포츠리서치 오메가3가 아니어도, 내가 예전에 먹었던 오메가 3나 다른 비교중인 제품이 있다면 IFOS 인증을 받았는지 해당 사이트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료사 이름이나 완제품 명을 타이핑하여 검색할 수 있습니다.

√  IFOS 인증 여부 확인하기

 

(2) MSC 인증 

MSC 지속가능한 어업활동 인증 마크 로고 이미지

스포츠리서치 오메가3 영양제 뒷편에 체크 표시의 MSC 인증 마크가 뭘까 궁금한 적 있으신가요?

이 MSC인증 또한  IFOS처럼 영양보충제 중에서는 바다에서 추출한 제품군에서 볼 수 있는 마크입니다.  

비영리 단체에서 표준에 맞게 어업 활동을 하는 곳에 인증 마크를 주고 있고, MSC 인증을 받은 곳은, 한 번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DNA를 확인해 관리되고 있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그들이 중요시하는 것은 3가지인데, 첫째는 계속적으로 바닷속 수산물이 풍부한 선에서 활동하는 것. 둘째는 바다 전체 생태계 유지가 될 수 있는 활동하는 것. 셋째는 법과 규정을 지키는 어업 활동입니다.

이런 인증 마크가 있어서 동참하고 있는 곳이 많을 줄 알았는데, 전 세계에서 잡히는 수산물 중 14%만 MSC에 가입 되어 있다고 해요. 

참고로, 스포츠리서치사가 판매하는 2종류 중 한 종류는 MSC 인증 대신 Friend of the Sea 인증마크가 있는데, 결국엔 지속가능한 어업활동을 하겠다는 인증으로 취지가 비슷한 것 같습니다.

 

 

솔직히 이런 지속가능성의 이슈는 당장 우리의 먹고 잘 사는 문제와 당장 직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조금 멀게 느껴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마치 지구온난화 예방이나 환경 보호를 위해 한 개인이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 활동이 몇 개나 될까요?

 

하지만 저 또한 몰랐으면 몰랐지 알아볼수록 기왕이면 같은 제품군들이 있다면 이 뜻을 함께 실천하고 있는 제품을 고르고 싶고, 그런 브랜드가 수많은 브랜드 중 조금은 다르게 보였던 것 같습니다.

 

그냥 단순히 생각만 해봐도 지속가능한 어업 활동이 되지 않았을 때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타격을 입을 사람들은 전 세계의 어업 관련 종사자들일 것이고, 그 다음으로는 그것을 소비하는 고객들일 것입니다.

 

수산물이 기호성인 사람들도 있겠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최근 몇 년간 전 세계에서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이 늘 최상위권에 랭크되어서 수산물이 사실 너무 중요한 먹거리 공급원입니다. (매년 거의 일본, 중국, 미국보다도 높은 소비량이네요) 

 

더불어 어마 어마한 양의 물고기를 매일 먹지 않고도, 손쉽게 영양제로 몸에 이로운 효능을 볼 수 있는 공급원인 바다 자원을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게 동참하는 일은 중요한 일 같습니다.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단기적인 이득을 위해 생태계나 개체의 수를 생각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잡아들인다면 결국 고갈될 것이니까요.

 

 

(3) 오메가3 함량 80~85% 순도

 

스포츠리서치사의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오메가 3 함량의 순도가 80~85%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계산해 보면 조금 의아할 수 있습니다. 또, 언뜻 어떤 기준으로 계산하느냐 따라 조금씩 순도가 달라질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가 궁극적으로 얻으려는 것은 EPA와 DHA일 텐데 스포츠리서치에 표기된 것을 보면 EPA는 690mg이고, DHA는 260mg 합은 950mg입니다.

 

다만, 계산할 캡슐의 총양의 기준을 피시오일농축양인 1250mg으로 봐야 할지, 아님 전체 총 지방 양인 1500mg으로 봐야 할 지에 따라 순도 %가 달라집니다.

 

1 캡슐 전체 양을 1250mg로 봤을 때는 순도가 76%가 되고, 1500mg로 봤을 때는 순도가 63%가 됩니다. (아마도 스포츠 리서치 회사뿐만 아니라 약사님도 제품 포장 겉면 정면에 표기된 1250mg로 계산하는 것 같습니다.)

 

 

근데 어떤 기준으로 계산해도 순도가 80%가 안 되는 것 같은데, 그러면 왜 스포츠리서치 공식홈페이지에는 순도가 80~85% 라고 했을까요?

 

혹시나 해서 앞서 언급한 IFOS에서 테스트한 EPA와 DHA 실제 결과 수치를 봤습니다. 결과부터 말하자면, 실제로 제품 표기에 적힌 것은 EPA와 DHA 합이 950mg이지만, 대부분 실제 검사값은 950mg보다 훨씬 넘었습니다. (제품 생산과 검사 시기마다 정확한 수치는 조금씩 다름)

 

예를 들어, LOT 번호 중 2026년 1월을 체크해 보니 EPA와 DHA 순수 합의 값이 1047mg이었고, 2024년 1월은 1014mg이었습니다. 포장지에 표기된 950mg보다 실제 용량은 훨씬 높았고 이러면 1 캡슐 전체 양을 1250mg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순도가 각각 83%와 81%가 되었습니다.

 

사실 이런 순도에 집착하지 않아도, 캡슐 1알에 EPA와 DHA합의 값이 950mg으로 여느 브랜드보다 높은 편입니다. 제가 아는 국내 제품 중 이름 있는 괜찮은 브랜드 2개는 오메가 3의 경우 EPA와 DHA 합의 값이 600mg이었고, 국내 제품 중 900mg도 있었지만 그런 경우는 가격이 스포츠리서치보다 최소 2.5배~3배 가격이었습니다.

 

 

(스포츠리서치도 가격이 만만한 편은 아니지만, 국내 제품과 퀄리티와 양 그리고 가격을 동일선상에 비교했을 때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추천되고 직구를 많이 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보고서가 단순하고 직관적인데 혹시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시거나, 이미 스포츠리서치를 먹고 있으신 분 중에 해당 제품의 실제 IFOS의 테스트된 EPA와 DHA 함량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하단에서 > 카테고리에서 선택 > lot 번호 선택)

 

오메가 3 함량이 1040인 경우 오메가3 함량이 1055인 경우

 

2. 스포츠리서치 제품 공통 특징 4가지

 

스포츠리서치에는 베스트셀러 오메가 3 외에도 다양한 제품 라인이 있는데요. 모든 제품은 아니지만, 대다수가 가진 공통 사항 4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Non-GMO 테스트 완료 (2) 글루텐 프리 (3) 타사 테스트 (4) cGMP 인증

 

이 네 가지중 (1)번인 유전자변형성분 검사는 IFOS 인증을 주는 같은 곳인 Nutrasource(뉴트라소스)라는 회사에서 테스트해 준 것입니다.

 

여기서 잠시 뉴트라소스 회사는 캐나다에 있는 민간 회사로, 다른 브랜드와 제휴를 일절 하지 않는 제3의 기관이라고 합니다. 

 

나머지 (3) 제3자 테스트완료 부분과 (4) cGMP 인증의 의미에 대해서는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른 게시글인 <스포츠리서치 감마리놀렌산 달맞이꽃종자유 / 특징, 복용 후기>에서 아주 쉽게 설명했는데, 궁금하신 분들은 확인해 보세요.

 

특히, cGMP에 관한 개념도 딱 한 번 알아두면 앞으로 영양제를 고르실 때, 인증 마크가 더 쉽게 와닿고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실 거에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달맞이꽃종자유 효능과 복용법, 주의사항
스포츠리서치 달맞이꽃종자유 외 인기 4개 제품 비교 (함량, 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