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좋은 오메가 3 추천 고르는법 12가지 (그중 가장 중요한 7개?)

by 건강한 에너지 2023. 8. 9.

안일하게 선택했다가는 몸에 무반응은커녕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는 만큼 오메가 3를 선택은 특히 중요합니다.

 

그런데, 오메가 3 시장은 국민 영양제인 만큼 광고의 전쟁터였습니다. (정보를 가장한 광고도 있었어요)

 

저는 지극히 당장 온 가족이 먹을 좋은 제품을 구매하려는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깐깐하게 고르는 기준 12개를 모았습니다. 그리고,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 7개를 분류했습니다. 운 좋게 이 글을 찾으셨다면 괜찮은 오메가 3 제품을 결정하는 데 반드시 도움이 되실 거예요.

 

오메가 3 고르는법 12가지 썸네일

 

오메가 3를 고르는 기준 12가지

(1) 원료사 
(2) 1 캡슐 당 순도
(3) EPA + DHA  = 합 
(4) 알티지(rtg) 형
(5) 포장 재질까지?
(6) 가격
(7) 국내 vs 직구
(8) 꼭 초임계 추출법?
(9) 원료 = 동물성 vs 식물성
(10) 캡슐 = 동물성 vs 식물성
(11) 부원료의 유무
(12) 비린내 유무 

 

12개의 기준은 상기와 같습니다. 참고로  소비자 입장에서 12개 기준을 모두 100% 부합하는 제품을 찾으면 제일 좋겠지만, 실제로 그런 제품은 없었으며 있다고 해도 꾸준히 먹기에 가격이 상당히 높을 것입니다.

 

그래서 일정 부분 '최소한의' 가장 중요한 기준을 추려야 했어요. 그래서 12가지 중 '가장 중요한' 7개와 상대적으로 조금 중요한' 5개로 기준을 총 2가지로 구분했습니다.

 

그러면 먼저 7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오메가 3를 고르는 '가장 중요한' 기준 7가지

(1) 원료사를 밝힐 것 
(2) 1 캡슐 당 순도가 80% 가까이
(3) EPA + DHA  = 800mg 이상 
(4) 알티지(rtg) 형
(5) 포장 '재질'까지?
(6) 가격
(7) 국내 vs 직구

 

제가 분류한 것이 저에게만 맞고 상황에 따라 다르신 분들도 있을 거예요. 하지만, 이유까지 찬찬히 보셔서 참고하신다면 괜찮은 오메가 3 제품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실 거예요.

 

(1) 원료사를 밝힐 것

오메가 3는 원료가 바다 생물에서 추출한 '기름'이기에 원료가 너무 중요한 부분이라고 합니다. 특히 원료 특성상 중금속 함유의 가능성이나 생산과 유통 과정에서 산패되기도 쉽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전 세계에 오메가 3의 원료를 취급하는 가장 유명한 회사가 5군데 있는데, 적어도 그중 한 군데에서 원료를 받아쓰는 제품이면 최초의 원재료의 품질은 그래도 어느 정도 좋다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이 5군데의 세계적인 원료사에는 KD 파마(독일), Alask Omega(미국), 폴라리스(프랑스), GC 리버(노르웨이), 솔루텍스(스페인)가 있습니다.

 

이들의 원료는 IFOS 인증을 받아서 중금속 함유여부나, 산패도 여부 그리고 제품에 표기한 오메가 3의 함량을 진짜 가지고 있는지 등의 테스트를 받습니다. 그리고 이들 원료 사는 GOED라는 품질을 중요시하는 국제 오메가 3 협회 회원사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상기에 언급된 원료사 5군데가 꼭 아니어도, IFOS 인증을 받고 GOED 회원사인 원료 사들도 있을 텐데 그러면 어느 정도 원료 선택에 평균 이상은 한다고 보면 된다고 합니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IFOS 인증과 GOED 회원사라고 반드시 원료와 '최종 제품의 품질'이 가장 좋다고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같은 원료사에서도 원료의 등급도 나뉘기도 하고, 검증된 원료를 썼을 뿐이지 가공 후 최종 제품화 됐을 때도 가장 좋다고 보장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상기에 말했듯이 적어도 '최초의 원료'는 중간 이상은 썼구나 정도로 참고 기준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그런 점에서 혹시나 오메가 3 제품이 원료를 어디에서 받아서 쓰는지 두루뭉술하게 밝히지 않는 것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2) 1 캡슐 당 순도가 80%에 육박할 것

약사 등 여러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것이 오메가 3의 1 캡슐당 순도가 제일 좋은 것이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 알티지형이 약 80%에 육박한 제품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국내 좋은 제품들은 1 캡슐당 순도가 79~80%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이 순도가 중요한 이유는 소위 말하는 다른 기름을 더 복용하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우리가 오메가 3를 먹는 주요한 이유는 오메가 3에서도  EPA와 DHA를 얻기 위함인데, 예를 들어 1개의 캡슐의 순도가 60%나 70%라면 나머지 40%나 30%는 다른 기름이라는 의미입니다. 

 

참고로, 시중에는 유명하고 잘 팔리는 브랜드 제품에 순도가 60%인 제품들도 꽤 있었습니다.

 

 

그리고 반대로 순도가 80%가 아닌 그 이상의 85~90% 사이라고 표기한 제품들도 보였습니다. 주로 해외에서 생산된 후 완제품을 직수입해서 국내에서 판매하는 제품들이 그랬습니다. 

 

현재 가장 기술력 좋은 회사에서도 순도가 80%까지 가능하다고 하던데 어떻게 된 일일까요?

 

 

(3)  EPA+DHA 합이 800mg 이상일 것

 

하루에 얼마만큼의 EPA와 DHA 양을 복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이는 사실 세계적으로도 공식적으로 정한 양이 없어서 제각각이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식약처에서 하루 권장량을 각자의 증상에 따라 최소 500mg에서 최대 2000mg를 정하고 있습니다.

 

일부 몇몇 개 국가의 기관인 캐나다 보건복지국이나 영국 영양기금 등에서는 성인기준 하루 최소 1,000에서 1,800mg을 권장하고 있고, 미국 FDA는 하루 3,000mg 이상을 넘지 않을 것을 권고하고, 유럽식품안전청에서는 하루 최대 5,000mg 복용도 안전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국내 유명한 약사 유튜버 분들의 권장 복용량도 조금씩은 달랐습니다. 

 

복용량 관련해서 여러 실험들이 있고, 여러 주장들이 나뉘다 보니 이 부분이 다소 헷갈렸는데, 그래도 나름대로 여러 유사점을 찾았고 개인적으로 가장 설득력 있는 주장이라고 생각한 점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현재 신체가 건강해서 건강을 계속해서 유지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꾸준히 먹고 싶다면 하루 1,000mg 정도의 복용을 하고, '단기적으로' 어떤 염증 완화라든지 특정하게 불편한 게 있으신 분들이 섭취 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보기 위해 적극적으로 복용할 경우에는 좀 더 고용량으로 하루 2,000~3,000mg을 복용하는 것입니다.

 

 

사실 유명한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대표이자 의사 출신 방송인 분도 유튜브에서 오메가3를 개인적으로 하루 최소 3,000mg 이상을 먹고 있다고 했고, 일부 유명한 약사분도 건강한 사람은 하루 2,000mg 정도, 만약에 만성 염증이 있는 사람이 완화를 위한 특수 목적으로는 3,000mg 이상을 권장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여러 가지를 고려했을 때, 개인적으로 하루에 1 캡슐 EPA+DHA의 합이 600mg으로 맞춰진 제품들은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캡슐양을 늘려서 2 캡슐을 먹을 수도 있지만, 이미 시중에 1 캡슐에 1000mg으로 맞춰진 제품들도 훨씬 많기 때문에 굳이 600mg을 선택할 이유는 없어 보였습니다.

 

또, 우리나라 식약처 기준으로 오메가 3의 기능을 인정한 3가지를 모두 만족(혈행개선, 눈 건조 개선, 기억력 개선)하기 위해서도 최소 하루 900mg 이상 섭취이기도 하고요.    

 

더불어 만약에 고용량으로 적극적으로 섭취하고 싶으신 분들께도 1 캡슐이 1,000mg의 고용량이 섭취 개수를 늘리기에 더 효율적일 것입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개인적으로 캡슐 크기에 목 넘김이 예민하거나 불편하신 분이라면, 1 캡슐당 순도가 높으면서(80%에 가까운) 상대적으로 저 함량의(1 캡슐에 EPA+DHA 합이 600mg 전후) 캡슐을 선택하는 것도 선택지가 될 것입니다.

 

아무래도 함량이 커질수록 캡슐 크기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4) 알티지(rtg) 형

오메가 3를 조금만 알아보셨던 분들이라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이 점일 것입니다. 소위 말하는 1세대 2세대 3세대 중 3세대에 해당하는 형태가 알티지 형인데, 가장 흡수율이 좋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제는 (적어도 제가 서치 한 국내 제품들 대부분에서는) 제품 설명란에 오히려 알티지형이 아니라고 하는 것을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래도 일부 제품 설명란에 rTG의 굳이 언급이 없다면, 조용히 EE형이나 TG 형이겠구나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한편, 해외직구 제품 중에서는 일부에도 1세대나 2세대형이 좀 더 있는 것 같습니다.

 

(5) 포장 재질까지?

정말 간과하기 쉬운데 포장법과 심지어 포장 재질까지 생각보다 더 중요한 기준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아무리 캡슐화가 되어있어도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구멍들이 있고, 캡슐이 공기와 많이 접촉되는 만큼 산패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합니다.

 

오메가 3와 같은 기름 종류는 빛, 열, 산소에 약합니다. 국내 제품들은 그래도 대부분 '개별포장'이 많았는데 여기서 더 꼼꼼하게 살펴봐야 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바로 포장 재질입니다. 포장 재질에 따라 산소가 좀 더 투과가 잘 되는 재질이 있고 그렇지 않은 재질이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국내에서는 반 이상의 제품들이 포장재질이 윗면에는 PVC(폴리염화비닐) 재질에 아래에는 알루미늄 포장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참고로 재질별 습기의 투습도 테스트 그래프를 보면 PVC 재질에 '한 번 더 코팅을 한' PVDC 재질 (폴리염화비닐리덴) 에서는 공기의 투습률이 1/3 이상이 줄어들었습니다.

 

그리고 알루미늄 재질이면 공기 투과율이 '0'에 가깝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는 주로 건강기능식품보다는 의약품에서 많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현재 시중에 오메가 3에는 양면 모두 알루미늄 재질은 없었습니다.) 

 

그래서 현재 소비자 입장에서 최선의 선택은 'PVDC + 알루미늄' 재질의 조합이 된 포장법인 것 같습니다.

 

 

단순히 "PTP 개별 포장입니다"라는 문구만 보기보다 주로 제품 설명 맨 하단에 내부 포장 재질 표기란을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반면에 해외 직구 제품들은 대부분 플라스틱 통에 대량 포장이 많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오메가 3를 플라스틱 통의 해외직구 제품과 개별포장의 국내 제품 모두 먹어봤는데, 해외 직구 제품 (스포츠리서치 오메가 3)도 꽤 오랜 기간 먹었는데 특별히 산패를 느낀 적은 없었습니다.

 

그래도 제가 운이 좋았을 수도 있고, 플라스틱 통에서는 꺼내 먹을 때마다 뚜껑을 열고 닫는데 그때마다 조금씩 공기가 들어가서 제품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합니다.

 

적어도 공기에 민감한 오메가 3만큼은 이중 삼중 더 포장에 신경 쓴 제품이 더 믿음이 가고,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6) 가격

오메가 3는 품질에 따라 가격대도 다양하고, 먹는 이유에 따라 다르겠지만 단기적으로 드시는 분도 있고, 중장기적으로 드시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특히 중장기적으로 복용을 원한다면 가격도 아주 중요한 부분일 것입니다.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약 20여 종의 가격도 대략 비교해 봤는데, 그래도 어느 정도 공통점은 있었습니다. 다만 업체별로 몇 달치를 한 번에 대량 구매 시 가격이 더 다운되었는데 기 기준이 가지각색이어서 완전한 비교는 어려웠으니 아래 내용은 대략적으로 참고만 해보세요.

 

 

 

우선 제일 고가 라인은 식물성 원료에 식물성 캡슐로 만든 제품으로 1 캡슐에 거의 1,900원에 육박했습니다. 실제로 해조류 등 식물성에서 뽑아낸 오메가 3의 원료 자체가 동물성 어류에 비해 비싸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다음으로 제일 저렴한 제품들은 주로 해외(미국, 캐나다 등)에서 완성한 제품을 직수입해서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제품이었는데, 1 캡슐당 200원에서 500원 사이였습니다.

 

그리고 제가 중요하게 생각한 상기 7가지 기준에 거의 부합하는 제품들은 대략 1 캡슐에 대략 700~900원 사이였습니다. 

 

그리고 그 사이에 캡슐당 순도가 60~70% 이거나 함량이 800~900mg 이하 제품들은 원료와 상세한 함량과 순도의 차이에 따라서 대략 1 캡슐에 300원에서 600원 사이에 포진되어 있었습니다. (*2 캡슐을 하루치 영양으로 기준 잡은 제품은 2 캡슐을 1세트로 계산했습니다)

 

이 가격은 업체마다 쓰는 원료사나 원료의 등급 그리고 그 외 부수적인 기준과 각자 마케팅 전략까지 너무 다르기 때문에, 상기의 캡슐당 가격은 정말 대략적으로 참고만 하시고, 구매하는 기준을 더 중요시하여 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7) 국내 vs 직구 제품

저뿐만 아니라 영양제를 해외 직구로 복용하시는 분들도 아주 많으실 거예요. 저 또한 오랜 기간 오메가 3도 해외직구 제품을 먹었습니다. 그런데, 오메가 3 만큼은 알아볼수록 국내 제조가 좋겠다는 생각으로 최근에 바뀌게 됐습니다.

 

그 이유는 산패의 위험도를 줄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앞서 얘기했듯이 오메가 3는 기름을 다루는 부분이기 때문에 산패되지 않는 것이 너무너무 중요하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 부분이 중요도가 1번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이 산패는 최초의 원료를 가공하는 과정에서부터 유통되고, 소비자가 개인적으로 보관하는 과정까지 모든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습니다.  

 

요즘 해외 직구 제품이 아무리 배송이 빠르다고 해도 국내 제품이 2배 이상 더 빠른 것이 사실입니다. 또, 국내 일부 몇몇의 브랜드의 경우 여름 기간인 6~8월에는 더운 날 혹시 모를 산패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냉장 포장으로 발송한다는 곳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상기 언급한 (5) 번 포장 재질 부분과 연계해서도 해외직구 제품에는 개별포장이 아닌 대량포장이 대다수인 점에서도 국내 제품이 포장과 보관면에서 더 안전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만약에 해외 직구 제품을 구매한다면, 덥지 않은 날씨에 빨리 소진할 수 있는 소량 구매가 선택지가 될 것입니다.

 


이상 12가지 기준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 7가지를 알아봤습니다.

 

 

내용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서, 나머지 5가지 기준은 아래의 다음 페이지에서 확인해 보세요!

 

나머지 5개에는 추출법이 꼭 초임계추출법이어야 하는지 여부원료의 동물성과 식물성에 대한 생각도 공유하려고 합니다. 또, 구매 시 중요한 추가 꿀팁까지 알아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 좋은 오메가 3 고르는법 12가지 (2탄) + 구매꿀팁
 오메가 3 추천 (16개 직접 비교했어요) 그중 알티지 좋은제품 6개는?
○ 해외직구 오메가3 제품 스포츠리서치 (함량과 순도는?)